여러분들이 운동을 하다 보면 어떤 것이 고중량이지? 나는 10kg 덤벨로 이두컬을 10개 수행하는 데 그럼 이것은 고중량일까?라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 저의 기존에 운동을 하면서 얻게 된 지식으로 하여금 기준점을 알려드려서 자신에게 맞는 운동 방식을 찾을 수 있도록 도와드리겠습니다.
기준점은 솔직히 사람마다 생각하는 차이가 있겠지만 저의 생각은 이렇습니다.
하나의 운동을 5세트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개수는 15개 이상-------> 저중량 고반복
하나의 운동을 5세트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개수는 8~12개-----------> 중중량 고반복
하나의 운동을 3세트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개수는 1~5개 ------------> 고중량 저반복
저중량 고반복이란 말 그대로 낮은 무게로 여러 번의 세트와 개수를 늘려서 하는 운동입니다.
저중량 고반복의 좋은 점
1. 고립 운동에 신경 쓰기 편하다.
----> 저중량으로 운동하다 보니 다른 신체의 힘이 필요하지 않고 그 분위의 힘으로 오직 들어 올릴 수 있다.
2. 근육의 섬세함을 더 보이기 쉽게 한다.
----> 저중량 고반복을 하면 고립 운동이 쉬워지고 그것으로 이두 운동 등 작은 근육의 부위의 근육들을 섬세하게 보이게 만든다.(타킷팅 운동)
3. 자기가 약한 부위를 타켓을 잡아 운동 할 수 있다.
----> 타킷 운동이라고 불리는데 이것은 만약 내가 이두 운동을 실시했을 경우 이두의 측면 쪽이 약하다고 생각해서 그 부위에 신경 써서 이두컬을 할 수 있다는 점이다.
4. 지구력 향상
-----> 많은 개수와 세트를 감당해야 함으로 체력적으로도 많은 도움이 되고 다이어트를 하는 사람들에게 추천드립니다.
5. 부상당할 확률이 내려간다.
----> 고중량 저반복에 비해 힘을 많이 쓰는 것이 아니므로 위험도가 많이 떨어진다.
이렇게 이쁜 몸, 섬세한 몸 등 운동 수행능력(맨몸 운동)을 하시는 분들이라면 저중량 고반복을 통해서 자신이 약한 부위를 타깃으로 삼아 집중적으로 공략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저중량 고반복이라고 근육이 커지지 않는다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있는데 그것은 잘못된 생각입니다. 다만 고중량 저반복에 비하면 근 성장이 느릴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그만큼의 강한 힘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고중량 저반복
3대에 많은 신경을 쓰는 사람들이 많이 하는 운동 방식으로 자신이 1세트에 1~5개 정도의 들어 올릴 수 있는 무게를 선정해서 운동하는 방식으로 저중량 고반복에 비하면 많은 에너지를 필요로 하고 근육을 성장시키는 데 있어서 가장 좋은 방법 중 하나이다.
하지만 고중량을 다루어야 하기 때문에 부상을 당해도 크게 다치는 경우가 많고, 많은 힘을써야 하기 때문에 다른 부위에도 힘이 들어가면서 다른 근육들이 다치는 경우도 있습니다.
1. 대근육을 빠르게 성장시키는 데 있어서 유리하다.
---->대근육(가슴, 하체, 코어)은 근육이 많이 분포하므로 빠르게 성장할 수 있는 부위입니다. 고중량 저반복으로 운동할 시 어느 부위보다 색다른 펌핑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2. 보다 두꺼운 근육을 얻는다.
----> 힘을 많이 쓰다 보니 근육들 사이사이 많이 찢어지고 그 사이로 다른 근육들이 채워지므로 빠르게 성장된다.
3. 순발력 향상
-----> 사람들이 생각하기에는 무슨 순발력이 향상이야 하는데 고중량을 다루다 보면 자신이 어디까지 내려가야 힘을 쓰지라는 위치를 알게 되는데 그곳을 지나면 페이스가 달라지므로 그 위치를 놓치지 않기 위해 집중력과 순발력이 필요하다.
저의 생각을 한번 적어보자면 저는 대근육(가슴, 하체, 코어)를 고중량으로 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왜냐하면 변화 과정도 빠를 뿐만 아니라 수행능력도 빠르게 키울 수 있는 부위가 대근육이고 고중량으로 빠르게 성장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어깨, 이두, 삼두는 중중량 혹은 저중량을 추천드립니다. 외관에 있어서 가장 눈에 띄는 근육일수록 섬세함이 부각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중중량 혹은 저중량으로 해서 섬세함을 높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어느 하나만 고집하시지 말고 중간중간 넣어서 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오늘도 저의 글을 읽어 주셔서 정말로 감사합니다!
'자기관리 > 헬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한 악력 어떻게 하면 얻을 수 있을까? (16) | 2021.09.30 |
---|---|
데드리프트 기초부터 알고 시작 (18) | 2021.09.28 |
헬스장에서 밴치 프레스 무시 받지 않기! (2) | 2021.09.20 |
집에서 누구나 쉽게 할 수 있는 어깨 운동 (2) | 2021.09.13 |
집에서 누구나 가능한 이두운동 (2) | 2021.09.11 |